정신건강서비스에서 배제된 채 자립생활 중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과 자립생활에 관심 있는 정신장애인과의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서
함께 살아가기 위한 당사자 자립생활 네트워크를 강화합니다.
자립생활 준비하기 | 자립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로서 자립에 필요한 교육을 시행하고 자립멘토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. |
---|---|
자립생활 지원 | 자립 멘토와 멘티를 선정하여 자립에 필요한 내용을 영역별로 지원해줄 수 있도록 합니다. |
자립 역량강화 | 자립 멘토와 멘티가 함께 주체적으로 논의하여 주제를 선정할 수 있도록 돕고 다양한 분야의 학습을 지원합니다. |
공유문화 활동지원 | 함께 음식을 만들어 먹는 ‘공동주방’ 과 원하는 주제의 영화를 보며 함께 즐길 수 있는 ‘어울림극장’, 지친 마음을 위로할 집단상담 프로그램인 ‘마음산책’을 진행합니다. |
정신건강서비스에서 배제된 채 자립생활 중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과 자립생활에 관심 있는 정신장애인과의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서
함께 살아가기 위한 당사자 자립생활 네트워크를 강화합니다.
WSM : 회복을 위한 자기관리’, ‘SAR : 회복을 위한 자기이해
정신장애인의 긍정적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대상에게 인식개선활동을 실시하여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 해소 및 인식 개선
활동으로
사회참여활동을 촉진합니다.
편견 없는 커피 나눔, 정신장애인 인식개선활동가 양성교육, 공감토론회
스스로의 부정적 장애 관에서 벗어나 자신을 인정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에 필요한 문화강좌를 실시함으로써 자립생활의
동기를
강화하여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합니다.
정신장애 당사자들의 증상과 병, 병과 함께 살아온 삶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이해하고 해석을 하며, 고생의 메커니즘을 해명하고 파악하여 인생의 의미를
찾고 정체성을 재구성하도록 돕습니다.
당사자연구 프로그램, 당사자연구 자조모임, 나눔과 꿈 지원사업 2차년도 연대사업
이야기뚜껑 활동을 통해 당사자가 병과 함께 살아온 삶에 이야기를 재구성하도록 격려 및 지지하여 증상에 대한 의미와 분석을 통해 새로운 대처법을
스스로 알도록 합니다.
이야기뚜껑 활동을 통해 당사자가 병과 함께 살아온 삶에 이야기를 재구성하도록 격려 및 지지하여 증상에 대한 의미와 분석을 통해 새로운 대처법을
스스로 알도록 합니다.
정신건강사업 | 우울감 해소 프로그램, 정신건강 강좌, 치료비 지원 등을 통하여 우울증을 바로 알고 관리 및 완화 방법 습득을 지원합니다. |
---|---|
문화이해사업 | 지역 내 행사 및 봉사활동에 참여함으로서 지역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 나들이를 포함한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정신건강회복을 돕습니다. |
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교류하는 소모임을 운영하는 것으로 기관 내 이용인들의 주체적인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와 교류함으로써 구성원으로 존중
받으며 성장하도록 돕습니다.
동료지원활동가 양성 및 활동지원을 통해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사회 내 고립된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계형성을 도와
당사자 간 회복효과를 증진합니다.
정신장애인 스스로가 주체적 존재로 인정하며 자기존중감을 향상하고 정신장애인이 갖고 있는 권익을 이해하도록 합니다.
기본교육(자살예방, 개인정보보호, 장애인식개선 등), 인권교육, 당사자인권옹호활동, 이용인 고충처리 지원
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.
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,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